프로세서, 그래픽카드 이렇게 2가지 주변기기들은 컴퓨터의 전체적인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전세대를 거듭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성능 향상을 꾀하고 있지만 중요한 사실은 바로 소비전력량 및 발열량의 증가이다. 그렇다보니 공냉 쿨러 외에 AIO 쿨러 라고 불리우는 수냉 쿨러까지 다양한 쿨링 솔루션이 발전을 하고 있는데 최상우 그래픽카드의 경우도 수냉 쿨러가 장착되어 있는 제품도 속속 출시되고 있다. 이런 모든 주변기기을 내부에 장착해야 되는 컴퓨터 케이스도 적지 않은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나 케이스 내부의 넉넉한 공기를 불어 넣어서 내부의 열기를 끌어내리는 1차적인 쿨링을 당당하는 팬의 120mm 에서 낮은 풍속이지만 넉넉한 풍량을 자랑하는 140mm 로 달라지고 있다. 오늘은 컴퓨터의 쿨링 그리고 케이스의에서 USB 타입C 를 사용할 수 있는 포트를 제공하는 다크플래쉬의 최신 제품인 DK370 MESH RGB 이다. 과연 이 케이스가 어떤 장점을 갖고 있는지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 darkFlash DK370 MESH RGB 강화유리 (블랙)
▲ 상세 스펙 : PC케이스(ATX) / 미들타워 / 파워미포함 / ATX / M-ATX / M-ITX / 쿨링팬: 총4개 / LED팬: 4개 / 전면 패널 타입: 메쉬 / 측면 패널 타입: 강화유리 / 후면: 120mm LED x1 / 전면: 140mm LED x3 / 너비(W): 210mm / 깊이(D): 385mm / 높이(H): 485mm / 파워 장착 길이: 220mm / 파워 위치: 하단후면 / VGA 장착 길이: 340mm / CPU쿨러 장착높이: 160mm / LED 색상: RGB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는 ATX, 마이크로 ATX, ITX 메인보드 등 다양한 규격의 메인보드들을 모두 장착할 수 있는 미들 타워 규격의 케이스이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의 상단은 마그네틱으로 처리된 별도의 먼지 필터가 적용되어 있어서 컴퓨터 내부 상단에 120mm 팬을 2개 장착할 수 있어 2열 AIO 쿨러를 장착할 수 있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상단 우측에는 전원버튼, 2개의 인디케이터 LED 및 "C 스위치" 및 총 4개의 USB 포트를 갖고 있다. 우선 C 스위치는 컴퓨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140 mm 전면 3개, 140 mm 후면 1개의 팬에 적용되어 있는 RGB LED 의 조명 전원 만을 끌 수 있다.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에서 LED 불빛이 거추장 스러울 때 이 버튼을 활용하여 켜거나 끌 수 있다. 그리고 4만원 대 케이스에서 볼 수 없었던 USB 타입C 포트를 볼 수 있다.
▲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엔트리 레벨 칩셋인 H810 메인보드가 출시되었는데 드디어 H 칩셋에서도 USB 타입C 를 사용할 수 있는 핀 헤더를 공식 지원하기 시작했다. 사진 - 에이수스 프라임 H810M-A 메인보드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의 전면에는 140mm RGB LED 팬이 적용된 팬이 장착되어 있다. 이 팬은 작동은 파워와 4핀 IDE 커넥터와 연결로 작동된다. 그리고 만약 3열 AIO 쿨러를 장착하고자 한다면 이 전면에 장착을 해줘야 한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의 전면 베젤은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며 내부에 철재 (스틸) 소재로 마감된 그릴망으로 처리하여 기본적인 먼지 필터의 기능을 하고 있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의 후면 배기팬과 IO 쉴드 그리고 총 7 슬롯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아래로 ATX 규격의 전원공급기 (파워)를 장착할 수 있다. 일반적인 파워 하단 장착형 케이스라고 이해하면 된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측면 강화 유리 및 스틸 패널은 쉽게 손나사로 분리할 수 있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내부에 있는 4개의 140mm 팬의 작동은 파워의 4핀 IDE 커넥터와 연결해 주면 되는데 스티커가 붙어 있는 것 처럼 POWER 아래 쪽에 연결을 해주면 된다. 중간에 있는 FAN 의 역할을 앞서 설명을 했던 C 스위치와 연결되어서 RGB LED 를 껴거나 클 수 있는 기능을 해준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하단 부분에는 파워의 장착과 2.5인치 혹은 3.5인치 스토리지를 장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며 파워 장착 부분에는 하단에 별도의 먼지 필터를 적용했다.
▲ 메인보드을 장착하는 플레이트 후면에는 2개의 2.5인치 SSD를 장착할 수 있는 가이드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메인보드에 기본적으로 NVMe SSD를 장착한 후 추가적으로 2.5인치 SSD를 장착하고자 한다면 이 후면 가이드를 활용하면 된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에는 2개의 USB 2.0 포트, USB 3.2 타입A 포트 및 USB 3.2 타입C 포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연결 케이블을 제공한다. 케이블의 마감은 기존의 다크플래쉬 케이스들과 동일하게 디테일한 마감이 되어 있었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의 메인보드 마운트 플레이트는 기본적으론 ATX 규격의 메인보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스탠드-오프가 장착되어 있다. 마이크로 ATX 규격의 메인보드를 마운트 하기 위해서는 스탠드-오프를 옮겨 주어야 하는데 이 때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스탠드-오프 암나사를 제공했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파워 케이블과 케이스 스위치 등과 연결하기 위해 메인보드로 짧고 쉽게 배선을 할 수 있도록 상당히 많은 숫자의 홀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을 빌드할 때 상당히 여유롭게 배선 및 각종 케이블들을 정리할 수 있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에 마이크로 ATX 규격의 메인보드를 장착했을 때 모습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에서 그래픽카드의 고정은 그래픽카드 슬롯 상단을 덮는 방식이다.
▲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타워형 쿨러 높이는 최대 160mm 이며 그래픽카드의 최대 장착 길이는 340mm 이다. 그래픽카드의 두께는 ATX 규격의 메인보드까지도 장착할 수 있으므로 그래픽카드 두께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 케이스 내부의 배기를 위한 120mm RGB 팬의 작동 모습
■ "USB 타입C포트 & 140mm 3개", darkFlash DK370 MESH RGB 강화유리
항상 그렇듯이 가장 많은 판매고를 올리고 있는 인텔의 H, AMD H 칩셋 시리즈 메인보드는 전세대 제품들의 경우는 USB 타입C 헤더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인텔의 H610, AMD의 H620, H520 등이 공통적이다. 이는 해당 칩셋 자체가 갖고 있는 USB 루트가 적은 숫자만을 가지고 있어서 IO 쉴드 쪽와 온보드 USB 3.2 헤더 만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인텔의 H820 칩셋 그리고 AMD 에서 출시될 H 시리즈 에서 USB 타입C 헤더를 제공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성비 높은 케이스를 구입해야 된다.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케이스에서 이 USB 타입C 를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은 최소 5만원 ~ 6 만원 대 이상의 케이스를 구입해야만 했다.
오늘 소개한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이제 엔트리 레벨 메인보드에서도 지원하게 될 USB 타입C 를 지원하며, USB 2.0 포트 2개, USB 3.2 포트 1개 등 총 4개의 USB 포트를 종류 별로 제공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혹은 사무실에서 많은 숫자의 USB 주변기기들을 사용하려는 분들이라면 상당히 좋은 가성비를 제공하는 케이스이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케이스를 구입해서 사용하는 분들이 AIO 쿨러 보다는 타워형 공냉 쿨러를 사용한다는 것을 감안하여 최대 160mm 높이를 가진 쿨러까지 장착할 수 있으며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원할한 쿨링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면 흡기140mm 쿨러 3개, 후면 배기 120mm 쿨러 1개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케이스의 후면에 상당히 많은 숫자의 타공 처리하여 상당히 높은 쿨링 성능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깔끔한 화이트 색상으로 구입하려는 분들에게도 선택을 줄 수 있도록 다크플래쉬 DK370 MESH RGB 케이스 는 블랙 제품은 43,000원에 화이트 제품은 47,000원에 다나와, 컴퓨존 및 오픈 마켓에서 구입할 수 있다.
최신리뷰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