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리뷰카테고리

가성비 있는 12세대 코어 프로세서 게이밍 시스템을 위한 에즈락 (ASRock) B660M Pro RS D4 - 에즈윈

인텔의 코어 프로세서는 11세대 그리고 12세대로 넘어가면서 보다 작아진 10nm 슈퍼핀펫과 완전히 달라진 진일보한 아키텍쳐 구조로 달라졌다.  프로세서의 코어 구조를 최대 8코어 / 16스레드 인 P 코어를 그리고 백-그라운드 전용으로 작동되는 8코어 E 코어로 마치 스마트폰에 사용되고 있는 AP (모바일 프로세서)와 비슷한 구조로 달라졌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용 모바일 프로세서가 이처럼 이중 구조로 만들어진 가장 큰 이유는 스마트폰에 사용할 수있는 배터리 용량이 스마트폰의 전체 무게 중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작은 배터리 용량에서 최고의 긴 사용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사실 인텔의 12세대 코어 프로세서의 "빅코어, 리틀코어" 구조는 이 배터리 효율성에서 맞지 않는다.  데스크탑의 성향상 노트북과는 달리 한정적인 배터리를 소모하는 것이 아닌 항상 일정한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전력의 효율적 사용 이라는 것 보다는 포-그라운드 그리고 백-그라운드에서 사용되는 많은 소프트웨어들의 코어를 효율적으로 할당해 최적의 성능을 내도록 빅코어와 리틀코어의 효과적인 사용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다. 


인텔에서는 이런 프로세서의 이중 구조를 사용하면서 누구나 쉽게 예상을 할 수 있었던 것처럼 하위 모델들은 이 "E코어" 의 숫자를 줄이거나 없애 "P코어" 만으로 작동되는 코어 프로세서 출시는 자연스러운 부분이다. 



▲ 하위 모델인 셀러론, 펜티엄 골드를 포함하여 총 13종류의 새로운 12세대 코어 프로세서가 추가 되었다. 


■ 에즈락 B660M Pro RS D4 - 에즈윈




▲ 간략 스펙 : 인텔(소켓1700) / 인텔 B660 / M-ATX (24.4x24.4cm) / 전원부: 8페이즈 / DDR4 / PC4-38400 (4,800MHz) / 메모리 용량: 최대 128GB / XMP / 옵테인 / VGA 연결: PCIe4.0 x16 / GPU 기술: CrossFire / 그래픽 출력: HDMI , DP / PCIe 슬롯: 3개 / M.2: 2+1개 / SATA3: 4개 / 후면단자: USB 3.0 , USB 2.0 / PS/2: 콤보 1개 / 기가비트 LAN / UEFI / LED 라이트 / LED 헤더 / M.2 히트싱크 / TPM헤더 / POLYCHROME



에즈락 (ASRock) B660M Pro RS D4 메인보드는 총 4개의 DDR4 메모리 뱅크를 가지고 있는 12세대 코어 프로세서, DDR4 메모리 사용 가능한 제품이다.  사용 가능한 프로세서는 인텔의 LGA1700 규격의 12세대 코어 프로세서이다. 사용가능한 메모리는 DDR4-3200 CL22 메모리를 네이티브로 지원하며 오버클럭킹 혹은 XMP 2.0 를 지원한 높은 클럭의 게이밍 메모리를 장착할 수 있다.  오버클럭킹으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메모리 클럭은 DDR4-4800 이다.




이 메인보드는 AIO 수냉 쿨러에 대부분 적용되어 있는 ARGB LED 를 제어하기 위한 핀헤더는 총 4개 준비하고 있는데 회색 ARGB 핀헤더 3개와 흰색 RGB 핀헤더 1개이다.  각기 색상을 구분해 두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구분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배려 하고 있다.




이 메인보드에 온보드 되어 있는 사운드코덱 그리고 랜 컨트롤러는 7.1 채널을 지원하는 리얼텍 ALC897 과 최대 1Gbps 유선 인터넷 속도를 낼 수 있는 인텔 i219V 칩셋이 사용되었다.  국민 칩셋 조합이라고 볼 수 있는 많은 메인보드들이 사용하고 있는 조합이다.



B660 칩셋에 있는 USB 루트를 그대로 뽑아내어 USB 타입C 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USB 3.2 Gen1과 타입A 포트 연결을 위한 핀 헤더를 연결하기 쉬운 자리에 위치해 두었다.



프로세서 소켓과 PCIe 4.0 16배속 슬롯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M.2 2280 규격의 NVMe SSD 장착 슬롯은 멋지게 디자인된 알루미늄 방열판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이 슬롯이 장착할 수 있는 최대 속도는 NVMe Gen4 x4 로 최대 7000 ~ 8000 Mbps 의 연속 읽기 혹은 연속 쓰기 속도를 낸다.



에즈락 메인보드 들의 가장 큰 장점 중에 하나는 와이파이6, 블루투스 5.0 를 지원하는 도터보드인 M.2 KeyE 슬롯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는 점인데, 이 메인보드도 역시 적용이 되어 있다.  이 슬롯은 B660 칩셋의 PCIe 3.0 1배속 레인에 연결된다.   



최근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들은 3개 정도의 팬을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어 알루미늄 방열판, 히트싱크 등과 같이 적지 않은 무게를 자랑한다.  그래서 가능하면 그래픽카드의 단단한 지지를 위해 중고가 이상의 메인보드들은 모두 스틸 소재의 PCIe 16배속 슬롯이 기본적으로 적용된다.  이 메인보드도 마찬가지 여서 에즈락의 스틸슬롯 4.0 이 적용되어 있으며 슬롯의 총 4군데 모서리에 보다 단단한 지지를 해주었으며 그래픽카드의 설치 및 제거 손잡이도 스틸이 적용해 보다 단단하게 그래픽카드를 지지해 준다.




에즈락 메인보드의 고유한 전원 설계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는 더블러 페이즈가 이 메인보드에도 적용이 되어 있다.  이 메인보드의 전체적인 전원부 디지인은 8페이즈 디지털 VRM 구조이며 프로세서 소켓을 기준으로 윗부분과 오른쪽 부분 전원부는 모두 알루미늄 소재의 네이티브 방열판이 적용되었다.


 

메인보드의 IO 쉴드 구성은 비교적 단촐하게 만들어졌다.  우선 12세대 코어 프로세서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HD700 시리즈 그래픽코어의 출력을 위한 HDMI 포트 그리고 디스플레이 포트를 지원한다.  USB 포트의 경우는 총 6개를 제공하는데 2개는 USB 2.0 그리고 4개의 USB 3.2 Gen2 포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 옆으로 사운드 출력 포트 3개가 자리 잡고 있다.



 

에즈락 (ASRock) B660M Pro RS 바이오스 보기 




이 메인보드의 바이오스의 최신 버전은 1월 초에 업데이트된 3.03 으로 이 바이오스는 XMP 를 지원하는 메모리의 범위를 늘렸으며 프로세서의 마이크로 코드를 업데이트 해, 프로세서와 게이밍 메모리의 호환성 및 안정성을 끌어오렸다.  현재 12세대 코어 프로세서가 출시된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 이기 때문에 바이오스 업데이트 부분은 자주 확인을 해주는 것이 좋다.



에즈락 인텔 메인보드에 최근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기술 중에 하나인 BFB 를 통해 사용되는 파워와 쿨러의 상태에 따라 프로세서의 TDP 를 끌어올려 프로세서가 작동하는 올코어 클럭을 임의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 옵션의 기본 설정 값은 자동 (Auto) 이며 고성능의 쿨러를 장착한다면 이 수치를 조금 늘려서 잡아주는 것이 좋다.



▲ 메인보드 바이오스 상태에서 확인해 볼 수 있는 인텔의 코어 i7 12700 프로세서의 세부 정보  




▲ 마이크로소프트의 최신 운영체제인 윈도우11 64비트 운영체제를 에러 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인텔 버츄얼 테크놀러지 (가상화 기술) 및 TPM 2.0 은 기본 옵션은 활성화로 되어 있었다.


메인보드에 있는 2개의 M.2 2280 슬롯의 성능은?  



 

● 테스트 프로세서 : 인텔 코어 i7 12700

● 메모리 : SKhynix DDR4-3200 16GB x2 

● 그래픽카드 :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80 Ti 

● 운영체제 : 윈도우10 Pro 64 비트

● SSD : SEC PM9A1 512GB  NVMe Gen4 x4 (PCIe. 4.0)


이 메인보드에는 총 4개의 SATA3 포트와 2개의 M.2 2280 규격의 SSD 를 장착하는 슬롯을 2개 가지고 있다.  우선 위 사진 상에서 2개의 M.2 슬롯을 확인할 수 있다.  이 2개의 슬롯은 모두 이 메인보드의 B660 칩셋의 PCIe 레인에 연결된다.  하지만 2개의 슬롯은 서로 다른 스펙을 지원한다.



▲ Hyper M.2 Socket (M2_1, Key M) - 방열판이 적용되어 있는 M.2 슬롯 


 

▲ Ultra M.2 Socket (M2_2, Key M) - 방열판이 없는 M.2 슬롯 


PCIe 4.0 x4 를 지원하는 SSD를 장착할 경우 첫번째, 방열판이 적용되어 있는 슬롯에 장착으 해주어야 하며 낮은 버전인 PCIe 3.0 x4 를 지원하는 SSD 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 두가지 슬롯에 모두 장착을 해도 작동된다.  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슬롯이 다른 규격을 지원하기 때문에 실제 시스템을 조립해서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이 부분을 주의해서 설치 후, 윈도우를 설치해 주는 것이 좋다.


오늘은 에즈락 B660M Pro RS D4 메인보드를 소개하였다.  이 메인보드는 오버클럭킹을 지원하지 않는 12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사용하는데 가장 가성비가 좋은 제품이었다.  에즈락의 기본적이며 탄탄한 전원부의 설계를 비롯하여 2개의 M.2 2280 슬롯과 스틸 소재가 적용된 PCIe 4.0 슬롯을 제공하는 등 중급 이상의 스펙과 소재로 마감된 제품이다.  인텔의 12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통해 가성비 높은 컴퓨터를 구성하려는 분들이라면 이 메인보드를 유심히 살펴보길 바란다.


 

추천 0 비추천 0

SNS공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메인 배너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