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바이트에서는 DDR3 램이 캐시로 내장된 UD PRO 시리즈 SSD를 국내에서 첫 선을 보였다. 이 제품은 2.5 인치 기반으로 SATA 인터페이스로 만들어졌으며 "기가바이트 UD PRO 시리즈" 라는 이름으로 출시가 되었다. 이 제품의 라인업에는 256GB 및 512GB 용량 이렇게 2가지 제품으로 출시가 되며 3D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 추가적으로 DDR3 캐시 메모리를 가진 이상적인 구조를 지닌 SSD
현재 저가의 SSD 의 경우 캐시 메모리를 장착하지 않는 구조를 갖고 만들어진 제품도 적지 않다. 캐시 메모리가 없게 되면 아무래도 읽기, 쓰기 성능에 변화가 동반하게 되지만 이를 생략하게 되면 보다 가격적인 메리트를 갖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적당한 용량의 캐시 메모리를 장착하게 되면 없는 제품에 비해 랜덤 쓰기 (IOPS)는 캐시 메모리가 없는 SSD에 비해 최대 16배 정도의 성능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이 제품은 컨트롤러와 낸드 플래시 메모리 외에 DDR3L 램을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보다 빠른 읽기 및 쓰기 성능을 낸다. 그 외에 캐시 메모리는 연속적인 읽기 및 쓰기 성능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 부분은 기사를 통해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 기가바이트 UD PRO 256GB - 제이씨현
■ 기가바이트 UD PRO 512GB - 제이씨현
■ 기가바이트 UD PRO 시리즈의 성능은?
테스트 시스템 소개
마더보드 : 기가바이트 어로스 X470 울트라 게이밍
프로세서 : AMD 라이젠7 2700 X
메모리 : V-COLOR RGB 프리즘 DDR4-3000 8G X2
그래픽카드 : 지포스 GTX 1080 Ti
메인 SSD : 웨스턴디지털 블랙 3D 512GB NVMe M.2
■ 기가바이트 UD PRO 256GB 성능
우선 간단하게 연속적인 읽기 및 쓰기 성능이 얼마나 안정적인가를 확인해 보기 위해 HD Tune PRO 5.70 를 통해 이를 확인해 봤다.
이 테스트를 통해 확인해본 연속 읽기 성능의 평균은 430MB/s 내외 였으며 쓰기 성능은 290MB/s 정도 였다. 단 쓰기 연속 쓰기 성능의 경우는 초기 부분에 크게 하락이 되는 부분을 보였는데 이후에는 점차적으로 크게 차이가 없는 파형을 보여주었다. 연속 읽기 성능도 꽤 준수한 편이었지만 연속 쓰기 성능도 역시 나쁘지 않아 보였다. 만약 캐시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경우는 아래와 같은 파형을 보인다.
동일한 3D 낸드 기반의 제품이지만 보는 것과 같이 추가적으로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속 읽기 성능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연속 쓰기 성능에서 불안정한 전송 속도로 인해 파형의 진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캐시 메모리를 장착하게 되면 그 간극을 메꾸게 되어 기가바이트 UD PRO 시리즈와 같이 낮은 크기의 파형을 지니게 된다.
대부분의 SSD 스펙의 표준으로 삼고 있는 크리스털 디스크 마크에서는 연속 읽기 성능이 560MB/s 정도를 보여주었으며 연속 쓰기 성능은 이보다 낮은 520MB/s 정도를 그리고 4K 랜덤 읽기과 쓰기는 약 320MB/s 정도로 측정이 되었다.
■ 기가바이트 UD PRO 512GB 성능


HDTUNE PRO 를 통해 확인해 본 512GB 용량을 지닌 이 제품은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은 읽기 성능은 앞서 256GB 용량을 가진 제품과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었으나 쓰기 성능은 경우 평균치가 약 229MB/s 정도는 보여 256GB 제품에 비해 약 60MB/s 낮게 측정이 되었다. 그리고 연속 쓰기의 경우 초기 부분에서 크게 떨어지는 쓰는 성능을 보이는 것도 현재 이 기가바이트 UD PRO 시리즈가 갖고 있는 특성으로 보인다.

HDTUNE 테스트와 달리 크리스털 디스크 벤치마크에서는 앞선 256GB 제품과 오차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크기의 차이로 조금 느리거나 조금 빨랐다. 단순히 이 테스트만으로 봤을 때 2가지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진 제품이지만 크게 읽기 및 쓰기 성능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몇가지 간단한 테스트 그리고 AMD X470 칩셋 기반의 마더보드로 테스트가 진행이 되었지만 2개의 제품은 상당히 안정적인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런 성능을 보여준데에는 저가 SSD 에서 사용하지 않은 캐시 메모리의 사용이 주요한 것으로 보이며 더 나아가서 앞서 이야기 했던 SSD 의 성능을 좌지우지 하는 핵심 소자, 즉 컨트롤러 - 캐시 메모리 -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제어를 위한 펌웨어 튜닝이 상당히 잘 되어 있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최신리뷰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
리뷰카테고리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