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리뷰카테고리

투명하게 내부를 깔끔하게 보여주는 마이크로닉스 T4000 마스터 케이스

배관 및 RGB LED 등을 통한 다양한 액세서리를 통한 튜닝이 크게 유행을 하는 듯 하지만 실상 내용을 보게 되면 이 시스템을 볼 수 있는 사람들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오히려 이를 기본적으로 사용한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한 PC방에서 보는 것이 빠르다.  개인들이 배관 등을 포함한 풀 튜닝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아무래도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즉 개인적으로 다른 주변기기들을 추가한다거나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고장 등이 생기게 된다라면 개인이 이를 개선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가능하면 풀 튜닝된 시스템 보다라는 RGB LED를 적용한 주변기기들를 컴퓨터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세미 튜닝"을 하는 분들이 많다. 


이렇게 컴퓨터의 내부 구조를 그대로 보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외형인 시스템 케이스의 선택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졌다.  오늘 브레인박스에서 소개할 제품인 바로 이런 개인들의 세미 튜닝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마이크로닉스의 T4000 마스터 케이스이다.  과연 이 케이스가 어떤 특징과 외형을 가졌는지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 한미마이크로닉스, T4000 마스터 케이스  





이 케이스는 미들케이스 크기를 갖고 있는데 마더보드 크기로 보게 되면 "ATX" 규격의 제품이 꼭 맞게 들어가는 크기이다.  만약 조금 더 여유있는 시스템 조립을 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ATX 규격의 마더보드를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가능하면 케이스에 꽉 찬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ATX 규격의 마더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우선 T4000 케이스의 전면은 헤어라인 무늬가 적용된 알루미늄 으로 되어 있으며 별도의 RGB 튜닝이 되어 있지 않고 3.5 인치 기반의 ODD 등을 장착할 수 없는 막혀 있는 구조이다.  만약 꼭 ODD 를 설치해야 한다면 다른 시스템 케이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케이스의 전면을 기준으로 봤을 때 좌측면은 통유리로 되어 있는데 유리의 두께는 0.4T (4mm) 정도 두꺼우며 이로 인해 측면 그라스 부분의 무게도 상당하다.   




케이스의 내부은 총 3개의 120mm 팬이 장착이 되어 있는데 케이스의 후면에 장착되어 시스템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 주는 쿨러는 한미마이크로의 화이트링 쿨러가 장착되어 멋스러움을 더 했다.  





케이스의 바닥면은 하단 전원공급기 위치를 기본으로 하는데 전원공급기를 넣는 덕트 형태로 제공이된다.  이렇게 덕트 형태로 제공이 되는 이유는 공기의 흐름 등의 역학적인 부분 보다라는 전원공급기의 배선을 가려주어 시스템의 내부를 깔금하게 만들 수 있다라는 점과 덕트 상단에 추가적으로 쿨러를 장착하여 보다 능동적인 시스템 쿨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전원공급기에 장착된 쿨러가 내부로 공기를 빨아들일 때 같이 유입될 수 있는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필터가 기본 제공된다. 



케이스의 뒷면은 쿨러를 위한 스틸 매쉬 처리 부분과 IO 쉴드 장착 부분 마지막으로 그래픽 카드 혹은 확장 카드를 위하나 7개의 슬롯 베이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의 상단에는 케이스 내부의 먼지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한 마그네틱 처리된 필터와 전원버튼, 리셋 버튼, 그리고 하드디스크 및 전원부 LED 그리고 USB 2.0 포트 2개와 USB 3.1 포트 1개 그리고 마이크와 헤드셋을 위한 스테레오 플러그 등을 갖고 있다. 





하드디스크 및 SSD의 스토리지는 넉넉한 편이 아닌데, 2.5인치 기반의 하드디스크는 최대 2개까지 장착이 가능하며 SSD의 경우 최대 3개까지 장착이 가능하다.  만약 하드디스크 및 SSD의 조합으로 시스템을 구성한다면 1개의 SSD와 2개의 HDD 정도 장착이 가능하다.   2개의 하드디스크는 별도의 하드디스크 가이드를 통해 설치가 가능하다. 





케이스의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액세서리를 케이스의 포트 등을 막을 수 있는 별도의 고무 마게를 제공하며 여부의 케이블 타이도 기본 제공한다.  그리고 케이스와 마더보더를 연결하는 각종 케이블 역시 상당히 잘 정리가 되어 제공된다. 


전원공급기의 설치 




케이스의 하단에 장착되는 전원 공급기는 전면을 기준으로 봤을 때 우측의 측면 스틸 부분을 제거해서 가능하다.   하단에 어렵지 않게 삽입을 하고 케이스의 외부에서 4개의 육각 나사를 조여주면 간단하게 장착이 끝난다. 


ATX 규격 마더보드의 설치 






조립을 위해 먼저 마더보드에 메모리와 프로세서 및 쿨러를 장착한 후,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바로 전원공급기의 8핀 12V 마더보드용 케이블을 케이스의 상단으로 뽑아주는 일이다.  그 후에 T4000 케이스에 마더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IO 쉴드를 장착하고 마더보드를 고정해 주게 되면 완료된다. 





좌측면 통유리 측면을 통해 케이블을 지저분하게 보지 않게 위해서 케이스의 하단 부분에서 최고 가까운 부분의 홀을 이용하여 마더보드의 핀헤더와 연결해준다.   케이스에서 제공하는 케이블의 경우 양각처리된 케이블 헤더를 통해 쉽게 연결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이 부분은 상당히 잘 만들어진 부분이다. 


지포스 그래픽카드의 설치





마더보드 PCIe 슬롯에 그래픽카드를 설치한 후, 그래픽카드와 연결되는 12V 6핀 혹은 8핀 커넥터과 마더보드에 연결해야 하는 24핀 표준 커넥터 및 USB 3.1 커넥터 등도 하나의 홀을 통해 모두 뽑아내여 연결해 주면 보다 깔끔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필자의 경우도 하나의 홀을 통해 모든 케이블을 전면으로 뽑아 연결을 했다. 


HDD, SSD 등 스토리지의 설치 





케이스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2개의 하드디스크 베이는 2개의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베이를 통해 3.5인치 크기의 하드디스크 및 2.5인치 SSD 까지도 장착이 가능하다.  필자는 테스트를 위해서 하나의 SSD 를 가이드에 장착 한 후 시스템을 구성해봤다. 


마이크로닉스 T4000 마스터 케이스의 간단한 팁, 배선 정리하기  


케이스의 한쪽 측면이 통유리로 되어 있어 내부의 주변기기들이 모두 보이는 케이스인 만큼 전면에 가능하면 케이블 등을 안보이게 하는 것이 좋다.  그렇기 위해서는 케이스의 우측에 잘 정리를 하는 것이 중요한데 필자의 경우는 아래와 같이 정리를 했다. 






이 정도로 미들 케이스 정도를 가진 케이스는 케이블을 잘 정리할 수 있도록 상당히 잘 배려가 되어 있다.  특히나 케이블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정리하기가 상당히 편리하다.  가장 먼지 해줘야할 것인 마더보드에 연결이 되는 12V 8핀 커넥터를 독립적으로 정리를 해주고 두번째로 중앙을 기준으로 많은 케이블을 하나로 묶어서 처리를 하는 것이 비교적 깔끔하게 정리가 가능하다. 




이 처럼 케이블을 편리하게 정리가 가능한 이유는 아무래도 케이스의 우측면 부분이 약 20mm (2cm) 정도의 비교적 두꺼운 여유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혹시나 전원공급기의 케이블 정리가 귀찮다고 하면 모듈러 방식의 전원공급기 사용하는 것을 권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용하지 않는 그래픽카드를 위한 8핀 커넥터 및 하드디스크 커넥터 등을 케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철심으로 된 케이블 타이로 정리를 해주는 것이 추후에 주변기기 장착시 편리하게 다시 풀어 사용이 가능하다.


마이크로닉스 T4000 마스터 조립 후, 이런 모습으로 가능


비교적 어렵지 않게 컴퓨터 시스템 조립이 가능했다라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물론 이 보다 많은 주변기기를 장착하게 된다면 보다 복잡해 지겠지만 하나의 마더보드에 그래픽카드 및 스토리지 1개 혹은 2개 정도를 장착한다면 오늘 기사와 비슷한 방법으로 조립하게 되면 어렵지 않을 듯 하다. 




T4000 마스터 케이스의 후면에 120mm 흰색 면발광 쿨러는 조금 밝은 느낌을 주지만 전체적으로 컴퓨터 내부를 환하게 밝혀주는 역할을 하기 전체적으로 세미 튜닝된 느낌을 주기에 나쁘지 않았다.  만약 보다 밝은 시스템을 원한다면 내부의 동일한 색상의 120mm 팬을 추가적으로 장착하면 될 듯하다. 




 

추천 0 비추천 0

SNS공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메인 배너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