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리뷰카테고리

무선 게이밍 마우스의 표준을 제시하다. LIGHTSPEED 로지텍 G304 무선 게이밍 마우스

10,000 DPI 이상으로 섬세한 제어가 가능한 마우스 그리고 RGB LED를 적용한 화려한 게이밍 마우스까지 윈도우의 탄생과 함께 꾸준하게 우리와 함께 해온 마우스는 컴퓨터 프로세서, 그래픽카드 못지 않게 많은 부분 달라졌다.  전통적인 그 마우스에서 드디어 "꼬리"를 자를 수 있는 무선 게이밍 마우스가 출시가 되었다.  무선 게이밍 마우스는 레이저, 커세어 등에서도 출시가 되었지만 상당히 고가로 판매가 되다보니 대중화 라는 큰 명제를 넘지 못했다.  최근 로지텍에서는 무선 게이밍 마우스인 G304를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보급형 무선 게이밍 마우스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오늘 브레인박스에서는 로지텍의 G304 마우스를 통해 무선 마우스가 어느 정도까지 발전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는 기사를 준비하였다.  


로지텍, G304 무선 게이밍 마우스







마우스의 패키지는 상당히 단촐했다.  우선 기본적으로 G304 마우스 본체와 USB 타입C 확장 케이블과 AA 알카라인 배터리 하나 마지막으로 간단한 사용 설명서 정도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아무래도 마우스의 특성상 그리고 뒤에 설명을 하겠지만 무선으로 연결 되는 부분인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사실 자세한 설명이 필요 없다. 


그리고 포함된 USB 타입A 케이블은 약 1.2m 정도로 본체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마우스의 무선 동글을 최대한 마우스와 가깝게 위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필자는 처음에 자체 충전이 되며 유선으로도 사용이 가능한지 착각을 했다.  이 제품은 본체에 충전 배터리가 내장 되어 있지 않으며 유선 모드로 작동이 되지 않는 100% 무선 마우스 이다. 




마우스의 좌 우측은 서로 대칭형이며 동일하다.  단지 차이가 있다라면 오른쪽에 2개의 버튼이 있다는 것만 다르다.  그리고 마우스의 측면과 상면 패널은 같은 소재로 사용되었다.  




마우스 전면의 상단에 위치한 2개의 버튼은 클릭감 그리고 소음이 조금 있는 편이기 하지만 클릭감이 상당히 경쾌한 느낌을 준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초기 불량 문제인 양쪽 버튼의 높이가 다른 이격 문제는 없는 제품이었다.  



이 마우스의 바닥면에는 총 6군데 패드를 덧대여 빠르고 정확한 마우스의 슬라이딩을 돕는다.  그리고 G304 모델 명이 인쇄가 되어 있으며 아래에 있는 스위치는 마우스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버튼이다.  이 마우스에 사용된 센서는 로지텍의 "HERO" 센서로 200 부터 12,000 dpi 의 해상도를 갖는다.  




마우스 상단의 커다란 2개 버튼 사이에는 스크롤 휠과 마우스의 해상도 (DPI)를 전환할 수 있는 버튼이 자리를 잡고 있는데 그 버튼 뒤로 작은 LED의 색상을 통해 사용하고 있는 혹은 바뀌었을 때 DPI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보여준다. 


배터리 및 무선 동글 (무선 리시버)는 마우스 내부에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마우스 본체 안 쪽으로 무선 동글을 넣음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다는 점이다.   로지텍에서는 이 무선 동글을 라이트스피드 USB 나노 리시버라고 부른다. 




그리고 AA 규격의 배터리 하나를 넣을 수 있는데 로지텍의 상품 정보에 따르면 하나의 배터리로 최고 250 시간 그리고 최대 9개월 까지 사용을 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배터리의 잔량을 직접적으로 알려주지는 못하는데 15% 정도가 남았을 때 마우스 상단의 배터리가 켜지게 되니 가능하면 이 때 배터리를 새 것으로 교체를 해주는 것이 좋다. 




 

로지텍 게임 소프트웨어 설정 



로지텍의 게임 소프트웨어는 로지텍 자사의 게이밍 기어와 사용자가 즐기는 게임들을 하나로 묶는 허브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앱) 이다.  이 앱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로지텍 게이밍 기어들의 자세한 설정을 비롯하여 로지텍에서 공개하는 각종 게임들의 프로파일을 다운 로딩 받아 해당 게임 마다 별도의 세팅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개인 들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하다.  즉 A 라는 게임에서는 10,000DPI 마우스 세팅과 자신의 만의 키보드 LED 밝기 및 효과를 그리고 B 라는 게임으로 넘어가게 되면 또 다른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을 설정을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게이밍 소프트웨어의 하단 바 부분을 클릭 하면 되면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와 연결된 로지텍 게이밍 기어의 세팅으로 넘어갈 수 있는데 G304 마우스는 무선 마우스 이다 보니 배터리 잔량 확인을 윗쪽에 배치해 두어 사용자가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앱이 디자인 되어 있었다. 



그리고 마우스가 가지고 있는 총 6개의 버튼을 임의대로 설정 할 수 있으며 당연히 이 프로파일을 해당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장 강력한 것은 총 6개의 버튼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매크로 기능도 가능하다.  일반적인 개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명령어 외에 나만의 매크로를 저장할 수 있는데 키보드의 입력도 한번의 클릭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이렇게 자세한 세팅 후에는 해당 설정 값을 마우스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여 어떤 컴퓨터 혹은 노트북에서 사용하든지 동일한 세팅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래서 가능하면 자신 만의 세팅을 한 후에는 마우스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을 해두는 것이 좋을 듯 하다.  


그 외에 자동적으로 게임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그리고 G304 마우스의 온라인 펌웨어 업데이트 등을 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게임 시 그리고 일반 사용시 느낌은 어떨까?  빠르고 손쉬운 무선 마우스  


필자가 삼일 정도 이 마우스를 업무용 컴퓨터에서 사용해 보니 이 로지텍 G304 마우스의 가장 큰 장점은 손쉬운 설치와 빠른 사용이다.  이 마우스의 무선 방식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무선 설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컴퓨터 혹은 노트북의 USB 포트에 포함되어 있는 "라이트스피드 나노 USB 리시버" 를 꼽기만 하면 채 1초 정도의 시간도 걸리지 않게 바로 인식 사용이 가능했다.   그리고 여기에서 라이트 스피트 나노 USB 리시버를 가능하면 마우스와 가깝게 두는 것이 이 마우스가 강력한 기능으로 내세우고 있는 유선과 동일한 1,000Hz 의 빠른 폴링 레이트를 느낄 수 있어 마치 유선 마우스 같은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정확하고 빠르고 민접했다. 


라이트스피트, 1,000Hz 의 빠른 폴링레이트과 32비트 ARM 코어 프로세서의 빠르고 정확한 포인트 


마우스는 필자가 사용하기에 느낄 수 있는 감정은 유선과 흡사한 느낌이었다.  조금 더 사용해볼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다면 다양한 게이밍 환경에서 마우스의 느낌을 전달했으면 좋았을 거 같지만 3일 이라는 짧은 시간에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무선 마우스와 비교 하기엔 무리가 있을 듯 하다.  아무튼 게이밍 마우스 이지만 일반적인 사무 환경에서 사용하는데도 너무 편리하다.  그 이유는 바로 마우스와 컴퓨터를 잇는 선이 완전히 없어졌기 때문이다.  무선이기 때문에 좁디 좁은 사무실 책상 위에서 이 마우스는 빛을 발했다.  일반적인 사무 환경에서 유선에 못지 않는 민접함과 정확성은 상당히 만족스러웠다. 



 

빠질 수 밖에 없는 경쾌한 클릭감과 소리 그리고 묵직한 무게


성인 남자들의 손을 기준으로 본다면 이 마우스의 크기는 높이 116mm, 폭 62mm 정도로 상당히 작은 편이다.  그렇다 보니 이 마우스를 손 바닥 안에 넣고 엄지와 새끼손가락 만으로 움직여서 포인터를 움직일 수 있는 팜 그립이 가장 잘 맞는다.  한가지 더 첨언을 하고 싶은 것은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무게는 99g 정도인데 마우스의 뒷 부분으로 무게 중심이 잡혀 있는 탓에 사용시 조금 묵직한 느낌을 주는데 이 느낌도 마우스 버튼의 클릭음과 함께 필자에게 최고의 마우스 느낌을 선사해줬다.  

추천 0 비추천 0

SNS공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메인 배너



댓글(1)

그루터기님의 댓글

회원이미지
댓글의 댓글 그루터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 충전케이블이 아닌, 무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케이블이었군요.
밑판에 아닌, 상판을 열어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식이 독특하네요.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