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리뷰카테고리

높은 가성비, 스타일리시한 화이트 디자인을 지닌 경성 큐닉스 언더독 QX2727 D.VA 리얼 144Hz 커브드 게이밍 모니터

이제 조금 게임을 한다라고 하는 분들 특히나 오버워치 그리고 배틀그라운드를 즐기는 분들이라면 너나 할 것 없이 기본적으로 144Hz 주사율을 지닌 모니터를 찾고 구입하고 있다.  이 "144Hz" 라는 숫자는 FPS 장르 게임에게는 끊김 없이 화면을 부드럽게 보여준다라는 의미에서 상당히 매력적인 숫자가 되고 있다.  게다가 PC방에서도 해당 144Hz 지원 모니터를 사용하는 숫자가 점차적으로 늘고 있어 실제 이 주파수를 사용한 게이밍 모니터를 게이머들이 접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된 지 오래되었다. 


이에 집에서도 높은 가성비를 지닌 144Hz 지원 게이밍 모니터를 많이 선호하는데 그 중심에는 국내의 게이밍 모니터 업체들이 큰 역할을 하였다.   특히나 우리나라는 독특하게 PC방이라는 한번에 많은 숫자의 하드웨어를 구입하는 시장과 고성능 하드웨어 사양을 좋아하는 게이머들이 양립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외산 게이밍 모니터 제조사들에게는 상당히 매력적인 시장임에는 분명하다. 



경성, 큐닉스 언더독 QX2727 리얼 144Hz 커브드 D.VA 게이밍 모니터




기본적인 모니터의 외형은 27인치 68.5cm 크기를 갖고 있으며 삼성의 커브드 LED 백라이트 방식의 패널을 사용하였다.  이 모니터가 표현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는 FHD 1920 X 1080 이며 3,000:1 의 명암비와 178도의 시야각을 갖고 있다.  모니터의 입력은 HDMI, DP, DVI 이며 HDMI 포트가 최대 120Hz 까지 출력이 가능하지만 디스플레이 포트와 DVI 포트는 최대 144Hz 까지 출력이 가능하다.   이 제품의 소비전력은 45W, 절전 모드시 0.5W 이며 무게는 5.5Kg 이다. 





모니터 본체 외에 제공되는 액세서리는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와 DVI 케이블, 디스플레이 포트용 케이블, 전원 케이블 및 간단한 사용 설명서, 고정 나사 등이 포함 되어 있다.  조금 유심하게 봐야할 점은 모니터의 전체적인 외형은 화이트 톤이기 때문에 제공되는 3가지 케이블도 모두 흰색으로 된 케이블을 제공하여 모니터와의 일체감을 더 했다. 




모니터의 후면은 경성의 게이밍 기어 브렌드인 "언더독 (Under Dog)" 이 인쇄가 되어 있으며 모니터 스탠드를 연결할 수 있는 힌지와 아래 모니터 케이블과 연결할 수 있는 포트가 플라스틱 커버로 처리하여 모니터 후면이 자칫 케이블로 지저분해 질 수 있는 부분을 해결했다. 



모니터의 오른쪽 하단 (전면 모니터 화면을 봤을 때)  총 5개의 버튼을 제공하고 있는데 모니터의 전원 버튼과 모니터의 OSD 메뉴를 불러 오는 버튼 이다. 




모니터의 전원 입력은 일반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져 별도의 어댑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포트, DVI 포트 그리고 HDMI 포트 이렇게 3개의 모니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디지털 방식의 대부분의 모니터 입력 방식을 모두 받을 수 있다고 보면 될 듯 하다.  단지 3가지 포트의 차이점이라는 표현해 줄 수 있는 주사율에 대한 차이가 있다라는 점이다.  HDMI 포트의 경우는 최대 120Hz 까지 지원하며 DVI 그리고 디스플레이포트는 모두 최대 144Hz 까지 주사율을 지원한다. 





모니터의 스탠드 연결의 모니터의 후면의 힌지를 통해 연결이 가능하며 모니터 후면에는 별도의 베사 마운트 홀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모니터와 스탠드의 연결을 2개의 나사와 하나의 손 나사를 통해 쉽게 체결할 수 있다. 





 

AMD 프리싱크를 위한 2가지, DP 케이블과 메뉴의 활성화 


AMD의 프리싱크 기술은 라데온 그래픽카드와 이를 지원하는 모니터를 사용했을 때 티어링을 없애는 기술이다.  이 기술와 엔비디아의 지싱크 기술을 많이 혼동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엔비디아의 지싱크는 하드웨어 기반이며 라데온의 프리싱크 기술은 소프트웨어 기반이라는 것에서 큰 차이점을 보인다.   게다가 프리싱크는 오픈된 기술이어서 비교적 어렵지 않게 구현을 해야 하는데 엔비디아의 지싱크는 하드웨어 도더보드를 구입해서 구현을 해야 하는 만큼 원가에 대한 차이로 이 두가지 모니터가 가지고 있는 가격차이를 만들어 낸다. 


그런데, 해결 방법은 이 것뿐만이 아니다.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 사이의 간극을 채우는 다른 기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엔비디아의 지싱크와 AMD의 프리싱크가 대표적이다. 두 기술은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 사이의 간극을 줄여, 빠른 화면 움직임에도 찢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해주는 기능이다.  또한 여기에서 재미있는 차이점이 하나 더 존재하는데 입력 방식의 차이이다.  지싱크의 경우는 디스플레이포트와 HDMI 포트 이렇게 2개의 포트를 지원하는 것에 비해 프리싱크의 경우는 디스플레이 포트 만을 지원하며 이를 연결해야 한다.   그리고 당연히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서만 지싱크를 지원하면 라데온 그래픽카드에서만 프리싱크를 지원하다는 점도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 첫번째로 모니터의 메뉴 옵션에서 "기타 > 프리싱크" 부분을 활성화 시켜줘야 한다.



▲ 그리고 라데온 드라이버 설정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항목에 가게 되면 자동적으로 AMD 프리싱크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프리싱크와 지싱크의 고질적인 문제점 중에 하나는 100Hz 이상으로 주사율을 설정할 때 모니터와 그래픽카드 간에 인풋랙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오히려 게임 화면의 끊김 현상을 보이는데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게이머들이 프리싱크 혹은 지싱크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고 144Hz 이상의 고 주사율 모니터와 빠른 반응속도를 지닌 선호하게 되었다.  이 부분은 물론 가격적인 영향이 없다고 볼 수는 없을 듯 하다.  

 

■ 다양한 게임에서 지원하는 144Hz 주사율


앞서 간단한 프리싱크 설정을 했다라면 이제 이 주사율의 설정을 작년 144Hz 게이밍 모니터의 대중화를 이끈 블리자드의 오버워치를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하자.  



현재 블리자드의 오버워치가 지원하는 해상도 마다 총 3개의 주사율을 지원하는데 60, 120, 144Hz 이렇게 3개였다. 모든 해상도 및 주사율을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을 했으며 높은 주사율 일수록 상당히 부드럽게 오버워치를 즐길 수 있었다. 


혼자 사용하기에 적당한 27인치 커브드 모니터, 큐닉스 언더독 QX2727 게이밍 모니터 


일반적인 모니터와 게이밍 모니터가 이제는 완전하게 기본적으로 144Hz 를 기본스펙으로 지닌 모니터가 너무 많아졌다.  게다가 삼성과 엘지 에서도 "게이밍 모니터" 라는 이름을 붙이고 나오고 있는 제품들도 많아진 만큼 작년에 이어 올 해도 게이밍 모니터들의 홍수 속에서 살아야할 듯 하다.  이런 많은 게이밍 모니터 사이에서 소비자들이 믿고 구입을 하려면 첫번째는 "브렌드" 일 것이고 두번째는 "가성비" 일 것이다.   



커브드과 144Hz 주파수를 지닌 모니터는 최근 들어 많아지기는 했지만 초창기에는 일반적인 평면형 모니터에 144Hz를 지원하는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하지만 삼성의 커브드 패널을 사용하는 모니터가 속속 출시가 되면서 이제는 커브드 모니터가 주류 모니터로 자리를 잡고 있다.  오늘 기사를 통해 소개한 이 경성 큐닉스의 QX2727 D.VA 리얼 144Hz 커브드 모니터는 게이머들이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가격대와 기능 그리고 디자인을 가진 제품으로 평가를 할 수 있을 듯 하다.  


그리고 144Hz 에서 200Hz 까지 높은 주파수를 모니터에 표현해 주기 위해서는 기존의 HDMI, DVI 포트 보다 더 큰 대역폭과 안정성을 가진 고급형 디스플레이포트용 케이블을 기본 제공한다는 것도 이 제품의 장점일 듯 싶다.   그리고 이 케이블을 통해서 144Hz 주사율을 끌어내어 AMD의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프리싱크 기술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이 모니터의 장점일 것이다.  하지만 엔비다아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분들이라면 앞서 설명한 프리싱크를 사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게임에서 144Hz 주사율을 맞추어서 세팅을 하면 대부분의 FPS 게임 등에서 부드러운 화면을 즐길 수 있을 듯 하다. 현재 이 모니터는 온라인 쇼핑몰 컴퓨존, 가격비교 사이트인 다나와 등을 통해 약 27만원 대에 구입이 가능하다. 


추천 0 비추천 0

SNS공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메인 배너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